클린 코드를 읽고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Function
😂서문 (나의 흑역사)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function renderPage(){
const root = document.querySelector("#root");
const button = document.createElement("button");
const ul = document.createElement("ul");
button.textContent = "불러오기";
button.addEventListener("click", () => {
while (ul.firstChild) {
ul.removeChild(ul.firstChild);
}
fetch("https://koreanjson.com/posts")
.then((response) => response.json())
.then((data) => {
for (let post of data) {
const li = document.createElement("li");
const id = document.createElement("p");
id.textContent = post.id;
const title = document.createElement("p");
title.textContent = post.title;
const content = document.createElement("p");
content.textContent = post.content;
li.addEventListener("click", () => {
fetch(`https://koreanjson.com/users/${post.UserId}`)
.then((response) => response.json())
.then((data) => {
window.alert(`${data.name}님이 작성하신 글입니다`);
})
.catch((error) => console.log(error));
});
li.append(id, title, content);
ul.append(li);
}
root.append(ul);
})
.catch((error) => console.log(error));
});
root.append(button);
}
처음 코딩을 배우기 시작 했을 때 내가 만든 코드들은 대부분 이런 형식을 하고 있었다. 길고, 중복된 내용도 많으며, 문맥이 두서없고, 뭘 하는지도 모르겠다. 이런 코드들이 가진 강력한 힘은 코드를 읽고 싶은 의욕을 없애버린다는 것이다. 당장은 방금 짠 코드들을 기억하고 있으니 문제가 없겠지만, 나중에 이 코드를 수정하게 된다면 이걸 수정하느니 차라리 다시 짜겠다라는 말이 나올 것이다.
이런 코드를 짜게 되는 이유가 여렀있었는데
- 함수를 어떻게 짜야 할 지 몰랐다
- 계획없이 의식의 흐름대로 코딩했다
- 시간이 없어서 일단 작동하는 코드를 짜야했다
보통 이런 식이다.
사연은 다양하지만 이런 함수들이 가져오는 단점은 확실하다.
- 코드를 이해하는데 오래 걸린다
- 코드를 재사용할 수 없다
- 중복된 코드를 수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고, 수정 과정에서 실수를 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함수를 잘 짜기 위해선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할까?
1. 최대한 작게 만들어라
함수는 더 이상 줄일 수 없을 때까지 작게 만들어야 한다. 긴 함수의 장점을 말하긴 어렵지만 작은 함수의 장점을 말하기는 쉽다. 우선 코드 재 사용성이 높아지고, 가독성도 좋다. 무엇보다, 함수를 추상화하는 과정에서 각 함수의 책임이 명백해진다.
블록에 중첩 구조가 생기거나, 들여쓰기가 2단을 넘을만큼 큰 함수는 좋지 않다.
if문과 while문은 자칫 중첩 구조가 생기기 쉬운데, 구문 내에서 ‘이름을 잘 지은’ 함수를 호출하는 식으로 함수를 줄여야 한다.
1
2
3
4
async function initPage(){
const data = await getData();
renderPostPage(data);
}
서문의 못생겼던 함수를 1차적으로 정리했다.
1. 함수명을 renderPage에서 initPage 변경했다.
함수를 줄이는 과정에서 이 함수가 render와 관련되지 않은 일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름에 수정이 필요했다.
2. 코드를 추상화 해 다른 함수로 분리시켰다.
view(renderPostPage)와 model(getData)로 역할을 나눠 함수를 분리했고, 함수명을 통해 코드를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되었다.
2. 함수는 한 가지 일만 해야한다
자주 들어본 말이지만 한 가지 일만 한다는 말을 이해하기는 어렵다. 바로 위의 initPage 봐도 data를 불러오고, 화면을 렌더링하는 두 가지 일을 한다고 생각 할 수도 있다. 사실 한 가지 일을 하는 함수는 ‘한 가지 추상화 단계의 일만 하는 함수’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이해하기 쉽다.
추상화 수준
객체 지향을 공부 할 때 가장 먼저 추상화라는 개념을 배운다. 추상화는 ‘공통적인 특성을 한데 모아 그룹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럼 추상화 수준이란 뭘까? 먼저 현실의 상황을 예로 들어보자. 학생 A,B는 한 가지 추상화 수준의 대화를 하고 있고, C는 추상화 수준이 뒤섞인 대화를 하고 있다.
학생 A : 어젯 밤에 화성과 금성, 토성을 보았어. 정말 아름다웠어.
학생 B : 방학에 비행기를 탔는데 인천, 서울, 대전이 다 보이더라. 정말 신기했어.
학생 C : 나도 화성을 정말 좋아해. 그리고 화성시도 살기 좋은 곳이더라.
추상화가 공통적인 특성을 그룹으로 묶어 말하는 것이라면 추상화 수준은 ‘추상화된 정도‘이다. 화성, 금성, 토성과 같은 행성을 ‘높은 추상화 수준‘으로 묶인 그룹이라고 한다면, 서울, 인천, 대전은 상대적으로 ‘낮은 추상화 수준‘으로 묶인 그룹이다. 학생 A와 B를 함수로 생각한다면 한 가지 추상 단계에서, 즉 한 가지 일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렇게 함수가 한가지 추상 수준의 일만 하도록 설계하는 것을 단일 추상화 원리(SLAP)라고 한다. 단일 추상화 원리에 의해 짜여진 함수는 깊이 들어갈수록 추상화 수준이 낮아진다.
단일 추상 원리에 따라 짜여진 함수의 장점은 ‘이야기처럼 읽기 쉽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는 내려가기 규칙이라고도 하는데, 코드를 위에서 아래로 읽으면, 추상화 수준이 점차 낮아지는 흐름을 따라 개념의 세부 사항을 이해하기 쉽다.
또 다른 장점은 시스템의 유연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추상화 수준에 따라 함수를 쪼개는 과정에서, 가장 세분화된 함수는 단일 책임을 갖고 모듈화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확장성이 높아진다.
내 함수가 한가지 일을 하는지 확인하기
그래도 추상성은 개념적이기 때문에 내가 짠 함수가 한가지 추상 단계인지를 확신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 땐 아래의 관점에서 생각해보자.
- 이름 추출하기: 의미있는 이름으로 다른 함수를 추출 할 수 있다면 한 가지 일을 하는 함수가 아니다.
- 섹션 나누기: 코드를 여러 섹션으로 나눌 수 있다면, 한 함수가 여러가지 일을 하고 있다.
3. 서술적인 이름을 사용해라
긴 이름은 코드를 길게 만들지만, 짧고 부정확한 이름보다는 백배 낫다. 함수의 이름은 함수가 하는 일을 정확하게 표현해야 한다. 억지로 이름을 짧게 지으려다보면 이름의 전달력이 떨어지고, 주석으로 함수가 하는 일을 설명하게 된다. 이름을 짓는 과정에서 함수가 하는 일이 명확해지고, 만약 함수가 여러 일을 하고 있다면 분리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함수 이름 짓기에는 충분한 시간을 들이는 것이 좋다.
4. 인수는 적을수록 좋다
인수는 함수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함수 내에서 인수가 무엇인지 확인 할 수 없기 때문에 함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호출부까지 이동해야 한다. 또 인수는 많을 수록 테스트 부담을 늘인다. 유효한 인수의 조합만큼 함수를 검증해야하기 때문에 고려할 케이스 수가 늘어난다.
단항 함수
흔히 사용되는 단항 함수의 예로는 함수에 질문을 던지는 경우이다. isValidEmail(‘test@abc.com’)이라는 함수는 문자열을 인자로 받아 검증한 결과를 boolean으로 반환하는 함수일 것이다. 다른 단항 함수의 예로는 인수를 변환해 결과를 반환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queryselector(‘div’)의 경우인데, 인자에 맞는 HTML Element를 찾아 반환한다. 이런 상황이 아니라면 단항 함수도 가급적 피해야 한다.
플래그 인수
플래그를 인자로 사용하는 것은, 결국 여러가지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함수가 하는 일을 분리해 여러 함수로 나눌 수는 없는지 고려해야 한다.
이항 함수
이항 함수는 더욱 혼란스럽다. 인자가 함수에 미치는 영향을 추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읽는데 시간이 더 걸리고 이해하기 어렵다. 또 인자의 순서가 읽는 사람을 혼란스럽게 만든다. 예를 들면 assertEqual 함수의 인자는 (expected,actual) 순서인지 (actual,expected)인지 알 수 있는 힌트가 없다. 이 경우에는 함수 명을 변경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assertExpectedEqualsActual이라는 이름이었다면 인자의 순서가 자연스럽게 전달될 것이다.
이항 형식이 적절한 경우도 있다. 평면 좌표를 반환하는 point함수가 있다면 (x,y) 인자를 받는 것이 자연스럽다. 또 위의 예시와 달리 인자의 순서 또한 자연적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이항을 사용해도 문제가 없다.
삼항 함수
인자가 3개를 넘어간다면, 인자의 일부라도 변수로 묶을 수 있는 지 고민해보자. createProfile(‘name’,25,’korea’)라는 함수가 있다면 3개의 인자를 묶어 createProfile(userProfileData)라는 인자로 전달 할 수 있을 것이다. 변수화 시키는 과정에서 개념을 표현하기 때문에 함수를 이해하기 수월해진다.
5. 명령과 조회를 분리해라
1
2
3
4
5
6
7
8
9
function set(key, newValue){
try{
const user = Store.find(key);
if(user) Store.update({key}, {value:newValue});
}catch(error){
return false;
}
return true;
}
set이라는 함수가 있다고 하자. 이 함수는 User에 해당 이름을 가진 user가 있는지 확인 후, 만약 존재한다면 username을 newName으로 변경한 뒤 성공 여부를 반환한다. 이런 함수를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고 하자.
1
if(set("Kim","Song")) doSomethig();
첫째로 set이라는 함수의 이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불명확해졌다. 애초에 set이라는 이름이 갖고있는 의미만으론 무엇을 return하는지 알 수 없다. if 문의 조건을 정확하게 알 수 없으므로 아래와 같이 분리해서 사용하는 것이 직관적이다.
1
2
3
if(attributeExists("Kim")){
setStore("Kim","Song")
}
[REFERENCE]
추상화 수준을 결정하는 방법
[CleanCode] 함수의 추상화 수준이란?
Levels of Abstraction, A Key Concept in Systems Design
[클린 코드 정독 시리즈]
1. 어떤 개발자가 돼야 할까?
2. 변수명과 함수명 짓기